퇴사 유형별 실업급여 수령 가능성 총정리
퇴사를 앞두고 있거나 이미 퇴사한 분들이 가장 많이 검색하는 질문 중 하나, "내가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?"입니다.
하지만 실업급여는 모든 퇴사자에게 지급되는 게 아니며, 퇴사 사유에 따라 수급 가능 여부가 달라지죠.
이번 글에서는 퇴사 유형별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, 명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.
실업급여 수급 기본 요건
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다음의 기본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:
- 고용보험 가입 기간: 퇴사 전 18개월 동안 180일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.
- 비자발적 퇴사: 본인의 의사와 무관한 퇴사여야 합니다.
- 실업 상태: 근로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하지 못한 상태여야 합니다.
- 적극적인 구직 활동: 재취업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야 합니다.
"퇴사해도 돈 받는다?" 실업급여 신청 방법 & 수급 조건 공개!
✅ "퇴사해도 돈 받을 수 있다고?"✅ "실업급여, 나도 받을 수 있을까?"많은 사람들이 퇴직 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해합니다.단순히 회사를 그만둔다고 해서 무조건 받을 수 있는 것은
aa.maylabor.com
퇴사 유형별 실업급여 수령 가능성
1. 자발적 퇴사자의 실업급여 수급 가능성
❌ 일반 자진 퇴사자는 실업급여 수급 불가
하지만 예외가 있어요.
✅ 실업급여가 가능한 자발적 퇴사 예시
- 임금 체불, 갑질, 직장 내 괴롭힘
- 건강 악화(의사소견 필요)
- 육아·가족 간병으로 인한 불가피한 퇴사
- 통근 곤란(왕복 3시간 이상)
- 권고사직 유도성 퇴사
📌 고용노동부는 이를 "정당한 이직사유"로 인정합니다.
2. 권고사직·해고 등 비자발적 퇴사자
✅ 실업급여 100% 수급 가능
- 회사의 경영 악화로 인한 구조조정
- 근무평가 부진으로 해고
- 계약만료, 사업장 폐업 등
이 경우 대부분 실업급여 신청 시 문제 없이 통과됩니다.
3. 계약직·아르바이트 퇴사자의 경우
- 계약기간 만료 후 퇴사 → ✅ 실업급여 가능
- 스스로 계약 종료 요청 → ❌ 불가 (단, 위의 정당한 사유 있을 경우 예외)
4. 퇴사 후 실업급여 신청 방법 요약
- 워크넷에 구직등록
- 고용센터 방문 및 수급자격 인정 신청
- 수급자 교육 이수
- 실업인정일마다 구직활동 보고
실업급여 최대 얼마까지 받을 수 있을까?
2025년 기준,
- 하루 최대 66,000원, 최소 64,192원
- 최대 270일까지 수급 가능 (연령과 경력에 따라 다름)
실업급여 얼마나 받을까? 1분 만에 확인하는 실업급여 계산기
실업급여 얼마나 받을까? 1분 만에 확인하는 실업급여 계산기실업급여는 실직한 근로자가 재취업을 준비하는 동안 받을 수 있는 고용보험 급여입니다. 하지만 모든 사람이 받을 수 있는 것
aa.maylabor.com
마무리: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퇴사 유형은?
퇴사 유형 | 실업급여 가능 여부 | 비고 |
자진 퇴사 | 경우에 따라 가능 | 정당한 사유 필요 |
권고사직 | 가능 | 대부분 인정 |
해고 | 가능 | 100% 가능 |
계약 만료 | 가능 | 스스로 종료 시 불가 |